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UE4
- UE
- register component
- 랜덤 맵 생성
- Unreal Engine 5
- 언리얼
- ue4 Crash
- ue4 error
- 13iew
- deltaTime
- unreal engine
- unity
- redirection crash
- ai 뚝뚝 끊김
- staticmesh mobility
- UE5
- UnrealEngine
- unreal ai lag
- ai jitter
- Unreal Engine 4
- ai 주춤거림
- Ai
- redirector crash
- Random Map Generator
- 리디렉션 크래쉬
- splinemeshcomponent scale
- LittleNightMare
- 리디렉터 크래쉬
- Unreal Engine Error
- unreal engine redirection crash
- Today
- Total
목록언리얼 (2)
Class GameDev* SheepAdult
TSubclassOf는 UClass 유형의 안전성을 보장해 주는 템플릿 클래스이다. 여기서 안전성이란, 사용자가 작업할 때 의도치 않은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는 말이다. 이 말은 TSubClassOf는 템플릿 클래스이므로 빌드 시점에서 타입 검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런타임 에러의 위험이 없다는 점에서 안전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. 보통 TSubclassOf는 EditAnywhere 등과 같이 에디터에서 직접 넣어주는 용도로 사용한다. // .h UPROPERTY(EditAnywhere) TSubclassOf TestWidgetClass; UPROPERTY() class UTestWidget* TestWidget; // .cpp TestWidget = Cast(CreateWidget(GetWor..
FORCEINLINE은 함수를 강제적으로 inline화 시킨다. inline화란 컴파일 단계에서 컴파일러가 함수 호출 지점에 함수 내용을 갖다 붙이는 것을 말한다. 왜냐하면, 간단한 함수의 경우(한 줄짜리 getter, setter 등) 함수를 호출하는 데 발생하는 오버헤드가 함수 자리에 함수 내용이 작성되어 있는 것보다 효율성이 좋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. 다시 말해, 함수를 호출하는 지점에서 함수로 이동하는 것보다, 그 자리에 함수 내용 코드를 써넣는 것이 효율성이 더 좋을 수 있다는 얘기이다. 이러한 경우 보통 inline을 사용한다. 하지만 inline의 경우, 컴파일러가 함수 내용이 복잡하다고 판단하면 inline처리 하지 않기도 하고, inline이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inline화 하기..